[졸업논문 필독] 졸업논문 관련 양식(참고문헌 표기 추가)
- 작성자 :국사학과
- 등록일 :2024.04.26
- 조회수 :1588
[졸업논문 필독] 졸업논문 관련 양식의 첨부파일 ‘[필독]국사학과 졸업논문 작성시 유의사항.pdf’의 11쪽 ‘참고문헌 예시’에 명시된 참고문헌(단행본, 논문, 신문) 외의 참고문헌(예: 단행본 번역서, 온·오프라인 사료 등)의 각주 표기 방식에 대해 추가 안내합니다.
1. 단행본 번역서
- 단행본: 저자명, 번역자명, 발간연도, 책제목, 출판사
ex) 제러드 다이아몬드, 김진준 옮김, 1998, 『총, 균, 쇠』, 문학사상사
2. 온·오프라인 사료 각주 표기는 아래의 예시를 따라 작성한다.
- 조선왕조실록: ex) 『태종실록』 권31, 태종 16년 6월 5일(을축).
- 삼국사기, 고려사 등: ex) 『고려사』 권6, 세가6 정종 2년 5월 14일(신묘).
- 기타 문집 자료 등: ex) 유성룡, 『서애집』 권5, 차자 「논요동자겸진사의차(論遼東咨兼陳事宜箚)」.
※ 단, 참고문헌 목록에는 온라인 사료의 경우 기관과 DB명을 표기할 것.
ex) 『태종실록』(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DB)
ex) 유성룡, 『서애집』(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)
3. 기타 온라인 사료 또는 자료
- 작성자명, 「자료명」, 출전명(URL 기입)
- 작성자 불명인 자료는 「자료명」, 출전명(URL 기입)
ex) 김진형, 「오대산 실록 110년만에 ‘원본’으로 귀향」, 『강원도민일보』(https://www.kado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212987)
ex) 김광언, 「농기구」, 『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』(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13086)
ex) 「광한루원」, 『남원시청 홈페이지』(https://www.namwon.go.kr/tour/index.do?menuCd=DOM_000001001007001000)
4. 재인용
- 1차 문헌(2차 문헌에서 재인용)
ex) 1차 문헌이 단행본이고 2차 문헌이 논문인 경우
: 沈演, 『止止齋集』 日本尊經閣藏 崇禎 6年刊本 20권 8쪽(黃一農, 2000, 「동아시아 과학기술사 발전을 위한 나의 의견」, 『技術과 歷史』 1-1, 16쪽에서 재인용).
*1차 문헌은 원 저작자의 문헌을 의미함
*2차 문헌은 원저작자의 문헌인 1차 문헌을 인용해 연구한 경우에 해당함
*1차 문헌과 2차 문헌의 각주 표기 방식은 국사학과의 각주 표기 방식을 따를 것.
5. 기타
- 각주의 경우, 앞의 각주에서 이미 인용한 논문이나 저서는 서지 사항을 반복해서 표기하지 않고, 앞의 책, 앞의 논문 등으로 표기한다.
- 단 사료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.
ex) 허태구, 앞의 책, 2019, 58∼59쪽 참조.
ex) 기경량, 앞의 논문, 2020, 105∼107쪽 참조.



